연번 | 학년도 | 학기 | 캠퍼스 | (교양)교과목명 |
---|---|---|---|---|
1 | 2020학년도 | 2학기 | 서울 | 통일문제의 이해 |
2 | 수원 | 한반도 평화와 일상생활의 관계 | ||
3 | 수원 | 평화ㆍ통일디자인씽킹(팀과제) |
연번 | 학년도 | 학기 | 캠퍼스 | (교양)교과목명 |
---|---|---|---|---|
1 | 2021학년도 | 1학기 | 수원 | 북한사회의 이해 |
2 | 수원 | 통일의 과정과 미래상 | ||
3 | 수원 | 평화ㆍ통일디자인씽킹(팀과제) |
연번 | 학년도 | 학기 | 캠퍼스 | (교양)교과목명 |
---|---|---|---|---|
1 | 2021학년도 | 2학기 | 서울 | 통일문제의 이해 |
2 | 수원 | 한반도 평화와 일상생활의 관계 | ||
3 | 수원 | 평화ㆍ통일디자인씽킹(팀과제) |
강의 | 교내외 참여교수 | 통일강좌 주제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주 | 박상철 |
1주 주제 : 발전적인 북한정책론 1강(15분): 1강(15분): 대북정책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 2강(15분): 한국 안보능력, 북한보다 훨씬 강하다 3강(15분): 북한정책 궤도수정론 |
대표 개발교수 |
2주 | 홍현익 |
2주 주제 :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반도 정세와 한국의 외교 및 통일전략 4강(15분): 한반도 안보 환경 5강(15분):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와 정세 전망 6강(15분): 한국의 외교 및 통일 전략 |
외부교수 |
3주 | 조한범 |
3주 주제 : 북한 및 통일 정책의 변화와 향후 정책 방향 7강(15분): 분단체제와 한반도 생활세계의 위험 8강(15분): 한강의 기적, 1박2일과 진짜 사나이의 패러독스 9강(15분): 통일은 필수, 한반도의 미래 |
외부전문가 |
4주 | 김기호 |
4주 주제 : 북한의 군사력 분석 (남북 비교) 10강(15분): 북한군의 성격과 병영생활 및 계급체계 11강(15분): 북한의 군사능력 개관(재래식 전력) 12강(15분):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과 한국의 방어능력 |
내부교수 |
5주 | 김성배 |
5주 주제 : 남북간 소통체계 13강(15분): 정부간 대화채널 14강(15분): 민간 및 스마트 채널 15강(15분): 북미간 소통채널 |
외부교수 |
6주 | 김진우 |
6주 주제 : The American view of North Korea(미국이 보는 북한) 16강(15분):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U.S,- North Korea Relations (미국과 북한의 역사적 맥락) 17강(15분): Foreign Policy Elites and Public’s Approach to North Korea (외교정책 전문가와 일반 시민들이 보는 북한) 18강(15분): U.S. Assessment of North Korea’s Nuclear Weapons Program (북한에 대한 미국의 접근: 핵무기 프로그램) |
내부교수 |
7주 | 정광진 |
7주 주제 : 북한과 중국관계의 실체 19강(15분): 북한과 중국의 관계와 상호 인식 20강(15분): 북한 핵미사일 문제 21강(15분): 북한과 중국관계의 미래와 전망 |
내부교수 |
8주 | 김경성 |
8주 주제 : 남북 민간교류, 스포츠교류를 중심으로 22강(15분): 남북 교류: 민간 스포츠교류의 역할 23강(15분): 남북축구교류 역사 이야기 24강(15분): 남북체육교류의 중요성과 대통령 직속 남북체육교류위원회 필필요성 |
외부전문가 |
9주 | 전연숙 |
9주 주제 : 북한이탈주민 이해 25강(15분): 북한이탈주민 현황과 정책 26강(15분):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와 지원제도 27강(15분): 북한이탈주민의 심리 · 사회적 특성 |
외부전문가 |
10주 | 이정호 |
10주 주제 : 북한의 상류층과 북한 체제의 움직임 28강(15분): 북한 중앙기관 간부들의 생활 29강(15분): 2020년 10월 10일 북한 열병식으로 보는 김정은 위원장의 변화 30강(15분): 북한의 경제구조 |
내부교수 |
11주 | 김수연 |
11주 주제 : 북한의 고등교육 31강(15분): 북한고등교육의 역사적 형성 과정 32강(15분): 북한고등교육의 제도적 특성 33강(15분): 북한고등교육의 운영 변화 |
내부교수 |
12주 | 이성희 |
12주 주제 : 김정은 시대 북한의 의무교육 제도 34강(15분): 김정은 시대 북한의 의무교육 제도 35강(15분): 북한의 의무교육제도 발전과 특징 36강(15분): 북한의 교원 양성체제 형성 및 역할 |
내부교수 |
13주 | 주성하 |
13주 주제 : 북한 언론 실태와 변화 37강(15분): 북한의 언론 상황 38강(15분): 대국민 선전 체제의 붕괴 39강(15분): 김정은 시대 북한 언론 변화 |
외부전문가 |
연번 | 개발 융합교과목명 | 개발 교수(개발책임자) |
---|---|---|
1 | 평화통일 디자인 | 교양학부 이○○ 교수 |
2 | 북한의 문학지리 | 국어국문학과 김○○ 교수 |
3 | 북한 수자원 관리 | 토목공학과 엄○○ 교수 |
4 | 남북한 범죄자 교정법 비교론 | 산학협력단 공○○ 교수 |
5 | 북한의 미디어 | 미디어영상학과 송○○ 교수 |